Page 4 - 2016년귀속개인 결산 주요문의(FAQ)
P. 4
Q25 소득세등으로 전표에 입력한 자료가 있는데 반영되지 않습니다. 차)손익 / 대)소득세등으로 직접 분개한 경우 반영되지 않으며, 해당 전표를 삭제 후 [손익계산서]에서 A25 전표추가로 자동 손익대체를 해야 합니다. [ 재무상태표 ] Q26 결산을 하기 전에 재무상태표에서 12월만 조회하면 대차차액이 발생합니다. 결산을 하지 않고 회계기간 마지막 월로 [재무상태표]를 조회하게 되면 원가 및 손익대체가 반영되지 A26 않아 무조건 대차차액이 발생합니다. Q27 결산을 완료 후에 재무상태표를 조회하면 대차차액이 발생합니다. 1. 대차차액이 확인 방법 ① [전기분재무상태표]에 부채 및 자본에 331.자본금으로 입력이 되어 있어야 하는데 379.당기순이익 및 380.당기순손실로 입력된것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② [전기분재무상태표]에 대차차액이 발생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합계잔액시산표 ① [일반전표입력]에서 결산 및 손익대체 분개를 삭제 후 [합계잔액시산표]를 조회하여 재고자산 A27 계정을 확인합니다. (대변에 금액이 있는경우 적요를 8.타계정으로 대체로 선택 하지 않은 전표, 제품계정코드가 전표에 바로 차변으로 분개된 경우 해당 금액은 원재료 등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② 매출원가에 따른 해당 원가경비를 잘못 선택하여 입력한 전표가 있는지 혹은 원가 대체전 경비코드에 대변 금액이 있는 경우는 확인 후 수정합니다. (제품매출원가 = 제조경비, 도급매출원가 = 도급경비, 분양매출원가 = 분양경비 등) 위에 사항을 확인하여 수정 된 경우 [결산자료입력]에서 다시 결산부터 순서대로 대체 합니다. Q28 세목코드를 사용 중인데 표준용 탭에서 세목코드로 사용한 계정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A28 [계정과목및적요등록]에서 상단에 F8표준재무제표누락코드 확인 적용 후 재조회 합니다. Q29 퇴직보험예치금이 비유동부채에 퇴직급여충당부채와 동일하게 반영됩니다. 퇴직보험 예치금 반영 시 295.퇴직급여충당부채를 차감후에 잔액남으면 자산쪽으로 반영 하고 A29 차감후 잔액이 없는 경우면 부채에 반영됩니다. 당해 329.퇴직연금충당부채 계정 과 188.국민연금전환금 계정을 사용했는데 비유동부채에 차감이 Q30 되지 않습니다. A30 상단에 CF9 퇴직부채 합산여부에 [여]로 선택 후 재 조회 하시면 됩니다. Q31 제출용 탭에서 과목명을 수정하거나 어떤 계정과목이 합산되는 확인 가능한가요? 상단에 F4 통합계정에서 제출용 명칭을 수정 하거나 해당 명칭을 클릭시 화면 오른쪽에서 합산되는 A31 계정과목을 확인 및 추가, 수정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