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 - 결산주요문의사항(FAQ)
P. 1
결산관련 주요문의사항(FAQ) 계정과목 및 적요등록 Q01 붉은색 계정과목명을 변경하는 방법이 따로 있나요? Q01 해당계정과목명을 클릭 후 CTRL+F2을 클릭 후 화면 오른쪽에 계정과목명을 수정하면 됩니다. Q02 표준재무제표코드가 빈란으로 적용 됩니다. 1. 환경등록에서 계정과목자리수가 1.6자리코드로 셋팅되어 세목코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단에 F8 표준재무제표누락코드확인을 클릭하여 일괄 적용 가능합니다. Q02 2. 환경등록에 계정과목 자리수가 0.4자리코드로 셋팅되어있는 경우 표준재무제표코드에서 F2 코드도움을 클릭하여 표준재무제표 코드를 입력 합니다. 고정자산등록 고정자산중 일부 양도가 있어 5.당기감소에 감소금액을 입력하면 전기말상각누계액(당기감소분)에 Q03 금액이 자동계산되는데 계산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기초가액에서 당기감소가 차지하는 비율만큼을 전기말 상각누계액에서 차지하는 금액을 자동계산 하여 차감해주고 있습니다. Q03 (EX : 기초가액이 3,000,000, 전기말상각누계액 : 1,353,000 당기감소 : 200,000 인 경우 (1,353,000 ÷ 3,000,000) × 200,000 = 90,200) Q04 11.내용연수/상각률(월)부분에 월수가 6으로 나타납니다. 회계기간이 12/31로 되어있으면 자산계정과목에 커서를 위치한 후에 상단에 F4 일괄계산에서 Q04 연말결산으로 체크후 재계산 실행을 클릭하면 됩니다. Q05 상각방법이 정액법으로 되어있는데 정률법으로 수정이 안됩니다. 자산계정과목에 커서를 위치한 후에 상단에 [F3 성실납세적용여부]를 클릭 하여 성실납세적용여부에 Q05 여로 되어있는 경우 정률법으로 수정이 안됩니다. 해당부분을 [부]로 선택 후 적용을 클릭하면 재계산 됩니다. Q06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비망가액을 남기지 않는데 프로그램에서는 비망가액이 나타납니다. 비망가액에 대해서는 세법상 유형, 무형 별도의 구분이 없이 [고정자산] 이라고 규정이 되어서 유형 및 Q06 무형자산에 대해서 모두 비망가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에 대해서 전년도에 고정자산등록을 하지 않아 당해년도에 직접 입력하는데 전년도 Q07 감가상각누계액을 어떻게 입력해야 하나요? 무형자산은 정액법으로 기초가액에서 균등상각을 하면서 감가상각누계액이라고 표시하지 않습니다. Q07 따라서 기초가액에서 전년도 감가상각비를 차감하고 입력 하며 2. 전기말 상각누계액에 전년도 감가상각비를 입력하면 10.상각대상금액은 1.기초가액 + 2. 전기말상각누계액이 합산되어 반영됩니다.
   1   2   3   4   5   6